본문 바로가기

마음공부 모임

아비담마 마음공부모임 자료 6 아비담마 마음공부모임 자료 6복습 : 해로운 마음에 반드시 함께하는 마음부수 4가지1. 어리석음, 무지 = 모하(Moha)2. 양심 없음 = 아히리까(Ahirika) 3. 도덕적 수치심 없음 = 아놋따빠(Anottappa)4. 들뜸, 갈팡질팡 = 웃닷짜(uddhacca)해로운 마음에 때때로 함께하는 마음부수 10가지 1. 탐욕 Lobha- 탐욕은 달콤한 원하는 대상을 거머쥐고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게 합니다. 그 결과 탐욕의 종류는 다양하여 탐욕이 나타나는 조건에 따라 페마(pema), 딴하-(taṇhā), 라-가(rāga). 사무다야(samudaya), 기만(māyā), 위선(Sāṭheyya)- 페마는 가족 간의 사랑이 대표적이며 밧줄로 옭아매서 서로 떨어지지 못하는 속박을 뜻하는 삼요자나(saṁyoja.. 더보기
아비담마 마음공부모임 자료 5 아비담마 마음공부모임 자료 5 1. 해로운 마음 작용 - 마음은 대상을 알기만 할 뿐, 마음만으로 선과 악, 좋고 나쁨이 없습니다. 그러나 마음과 함께 일어나는 마음부수들의 작용으로 우리는 이로움과 해로움을 경험합니다. - 마음 작용은 기본적으로 마음 + (느낌 + 지각 + 4가지 마음부수)가 함께 일어나고, 그에 더하여 다른 여러 마음부수들이 함께 생멸하며 마음 작용의 흐름을 만듭니다. - 먼저 우리를 괴롭게 만드는, 와 에 대해 알아봅시다. 2. 해로운 마음에 반드시 함께하는 4가지 마음부수 - 해로운 마음이 있을 때는 ①삼법인 사성제를 모르는 어리석음(무지), ②그릇된 행위에 부끄러워하지 않는 양심없음, ③그릇된 결과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는 수치심없.. 더보기
아비담마 마음공부모임 자료 4 아비담마 마음공부모임 자료 4 1. 괴로움은 어디서 오는가? - ‘나’라고 집착하는 대상인 다섯 무더기(5온-몸,느낌,지각,마음부수,마음)가 존재하는 한 괴로움과 불만족은 계속 생겨납니다. 이 괴로움은 무상-고-무아와 반대인 허구를 실재하는 것으로 집착하여 나 스스로 만든 감옥입니다. - 타인이나 질병 빈곤 등에 의해 생긴 외부적 괴로움은 자신의 마음을 다스릴 힘이 있다면 문제되지 않습니다. 어떤 조건에서도 마음의 초점을 유익한 마음에 집중할 수 있기에, 살아가는 과정에서도 죽음의 순간에도 괴롭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생각이 아닌 관찰로서 몸과 마음의 속성을 있는 그대로 알아야 함 - 몸과 마음이 있기에 괴로움이 생기고, 그 괴로움은 생겨난 바로 그 .. 더보기
구름처럼 강물처럼 마음이야기_라디오방송 (전체 모음) 아비담마 마음공부모임을 바탕으로 대구 달서구의 성서공동체FM 마을방송국에서 이야기를 진행했습니다.2024년4월15일 성서공동체FM (https://scnfm.or.kr)에서 첫방송을 송출했습니다. (1시간 분량) FM방송이라서 대구 서쪽 지역에서만 89.1MHz로 청취가능합니다. ( 매월3째주 월요일 낮12시)재방->매월3째주 화요일 오전7시, 4째주 월 낮12시, 화 오전7시6회 2024년 9월 16일  http://naver.me/5VmxxJ6b 6회_구름처럼강물처럼마음이야기_음악제거.mp3Bhikkhu Dhira님이 공유한 음악 파일을 확인하세요.mybox.naver.com 5회 2024년 8월 19일  http://naver.me/FlZx0KJX 5회_구름처럼강물처럼_음악삭제.mp3Bhikkhu .. 더보기
마음공부 1차모임 요약 및 숙제 대구 1차 모임 정리 및 보충 - 2024년 3월 27일 저녁 7시~9시, 총 6명 1. 모임 취지 점점 커져가는 탐욕과 분노 사회를 살아가야만 하는 한국인들이, 삶의 괴로움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날 수 있도록, 불교도가 아닌 타종교인에게도 불교의 지혜를 나누고자 합니다. 또한 불교도에게는 불교의 지혜를 확고한 자신의 습관으로 만들도록 이끕니다. 2. 방법 타종교인에게는 불교색을 뺀 대중적 명상프로그램인 MBSR(마보TV 등,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5g0zsW7ergbfWLZlcLQiPOID9Si8-yKK )을 추천합니다. 다만 이러한 기법 중심 프로그램은 근본 이론에 대한 공부가 부족하여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 모임에서는 먼저, 의사가 몸을 잘 알기 .. 더보기
아비담마 마음공부모임 자료 3 * 아래 내용은 불교정신치료 강의/전현수 교재의 제1장 불교정신치료 관점에서 본 사성제와 팔정도 내용을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8. 사성제를 불교정신치료적으로 보면 1) 고성제란 우리가 몸과 마음을 가진 한 몸과 마음에서 오는 괴로움을 피하기 어렵다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그 바른 앎은 괴로움이 올 때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거기에 스스로 괴로움을 더하지 않도록 하게 하는 토대가 됩니다. 우리는 괴로움이 오면 보통은 습관적으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입니다. 1차적 괴로움에다 자꾸 괴로움을 덧붙여 그것이 더 증폭되도록 합니다. 몸이 아프면 마음으로도 괴로워하고, 인간관계에서 힘든 일이 생기면 상대를 미워하는 식이지요. 그런데 몸이 아프다고 마음까지 아플 필연적인 이유는 없으며.. 더보기
아비담마 마음공부모임 자료 2 * 아래는 교재를 바탕으로 이 비구의 생각을 정리한 것으로 교재 내용과 차이가 있습니다. 불교정신치료 강의 2 6. 몸의 신경전달과정의 작용처럼 마음에는 정신인식과정이 있음 우리는 몸을 각각의 기능을 가진 요소로 관찰하여 몸에 대한 이해가 커졌습니다. 이와 같이 마음도 각각의 속성을 가진 요소로 정신인식과정에 따라 볼 수 있고, 이것은 남자 여자 어른 아이와 같은 개념과 관계없이 모두에게 공통적입니다. 그래서 ‘누구 무엇때문에 충격을 받고 나서 마음이 힘들다’와 같은 정신적 괴로움에 대해서도, 몸의 질병을 치료하듯 ‘어떤 마음 요소가 어떤 과정을 통해 어떤 마음과 반응하여 어떤 마음 상태가 되었기에 어떤 마음의 조건을 바꾸면 이렇게 될 것이다.’라고 마음의 괴로움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정신인식과정은 눈.. 더보기
아비담마 마음공부모임 자료 1 아비담마 마음공부모임 자료 1 우리는 '내가 살아서 지금 현재를 보고 듣고 알고 생각한다' 말하지만, 우리 마음은 대상을 인지한 순간 과거 경험과 학습에 의한 해석으로 관념화 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리고는 자신의 원인이나 감정을 다른 사람에게로 돌리는 '투사'를 하거나 '재해석'한 세상을 만들어내 그 속에서 살아갑니다. 그에따라 우리의 삶은 필연적으로 실재와 생각(허구)과의 차이만큼 큰 갈등과 괴리감 속에 살아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여기 우리의 마음을 맑고 깨끗하게 만들며 괴로움에서 벗어나게 만드는 한 마음이 있습니다. 어떤 가치판단과 해석 과정에서 벗어나 순수하게 지금 여기 이 순간을 아는 마음으로, 바른 의도를 갖고 현재에 촛점을 맞추는 노력으로 개발되는 마음인 Sati(마음챙김, min.. 더보기